개혁신학의 전통과 한국 장로교


The Tradition of Reformed Theology and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1/ 서론

2/ 개혁신학(주의)의 이해 5/ 개혁신학의 발전

3/ 개혁신학의 내용 6/ 개혁신학과 한국장로교 전통

4/ 개혁신학의 특징 7/ 결론

총신대학교 서요한 교수

 

1. 서론

 

 

개혁주의 혹은 개혁신학은 1960년대 이후 일부 학자들에 의해 폭넓게 이해되어 왔다. 미국의 개혁신학자 존 헤세링크는개혁주의 전통에서 약 50년 전 독일의 칼빈주의 신학자 빌헬름 니젤(Wilhelm Niesel)개혁주의란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인용하여 개혁주의의 모호한 정의와 사용을 지적하였다. 헤세링크에 의하면 개혁주의에 종교 개혁자 칼빈과 함께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 슐라이에르마허와 특별히 20세기 최대의 신학자 칼 바르트가 포함되었다. 존 리스 또한 개혁주의를 지나치게 광의적으로 해석하고, 신학자로 존 칼빈과 청교도 윌리암 에임스, 17세기의 조직신학자 프란시스 투레틴, 19세기의 찰스 하지, 윌리엄 브라운, 20세기의 칼 바르트, 라인홀드 리버, 리차드 리버를 포함시켰다. 이에 대해 일부 영국과 루터교 신학자들은 편향적으로 바르트가 오히려 지나치게 개혁주의적이라고 불평하였다. 그러나 미국의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전 변증학 교수 코넬리우스 반틸은 바르트를 개혁주의 신앙의 가장 위험한 적들 중에 한 명으로 규정하였다. 하지만 최근 개혁신학과 정면으로 대립되는 에큐메니칼 단체의 지도자들이 개혁주의자로 추앙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 우리는 어떤 신학이 정통이고 개혁인지, 신학과 신학자는 많은데 바른 신학과 신학자를 분별하기가 쉽지 않다. 이것이 현재 망망대해(茫茫大海)를 표류하고 있는 우리 신학계의 현상이다. 우리는 신학적 특징 없이 지구촌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작금의 무분별한 행태에 통탄을 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늘 개혁신학 내지 장로교회는 범람하는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 교회의 세속화, 성공주의와 번영신학, 특별히 종교혼합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무차별적 도전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한국 교회는 선교 초기의 개혁신학,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에 맞선 신앙적 전통을 일부 포기한 채 신학 부재 현상을 면치 못하고 있다. 오히려 교회와 교단, 신학교 간의 신앙적, 신학적 전통과 독특성을 소멸한 채 급속히 세속화 되고 있다. 그 결과 일부에서는 교회를 비난하고 신학을 경시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첨부파일을 다운 받으시면 전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The Tradition of Reformed Theology and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hwp